반응형
휴대폰을 살 때, **‘공시지원금’**과 ‘선택약정(요금할인)’ 중
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시죠?
2025년 기준, 통신사별 지원금 정책이 조금씩 변화하면서
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정보도 달라졌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의 차이점,
KT, SKT, LG U+ 통신사별 지원금 비교,
신청 시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📌 공시지원금이란?
공시지원금은 통신사가 단말기를 개통할 때
일정 금액을 즉시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.
- 단말기 출고가에서 즉시 할인
- 요금제에 따라 지원금 차등 적용
- 12개월 또는 24개월 약정 필수
예시)
갤럭시 S24 출고가 1,450,000원
공시지원금 300,000원 → 실 구매가 1,150,000원
📌 선택약정이란?
**선택약정(요금할인)**은 공시지원금을 받는 대신
월 통신요금에서 25%를 할인받는 제도입니다.
- 단말기 할인 없음
- 대신 매달 요금에서 25% 할인
- 12개월 또는 24개월 약정 가능
예시)
월 8만 원 요금제 → 선택약정 할인 시 매달 6만 원
24개월 약정 시 총 48만 원 할인 효과
📊 2025년 통신사별 공시지원금 비교
단말기통신사공시지원금 (2025년 7월 기준)비고
갤럭시 S24 | SKT | 최대 330,000원 | 5G 요금제 기준 |
갤럭시 S24 | KT | 최대 290,000원 | 선택약정 대비 낮음 |
갤럭시 S24 | LG U+ | 최대 350,000원 | 프로모션 포함 시 |
📌 중요!
공시지원금은 요금제에 따라 달라지며,
고가 요금제일수록 지원금이 커지는 구조입니다.
📉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
항목공시지원금선택약정
즉시 할인 | O | X |
월 요금 할인 | X | O (25%) |
위약금 | 중도 해지 시 발생 | 중도 해지 시 일부 발생 |
약정기간 | 보통 24개월 | 12~24개월 선택 가능 |
단말기 자급제 | 적용 안 됨 | 적용 가능 (통신요금만 할인) |
✅ 공시지원금이 유리한 경우
- 단말기 가격 부담이 클 때
- 고가 요금제를 2년 이상 유지할 예정일 때
✅ 선택약정이 유리한 경우
- 중저가 요금제를 사용할 때
- 단말기를 자급제(알뜰폰 포함)로 구매한 경우
- 1년만 이용할 예정일 때
⚠️ 신청 시 주의사항
-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
- 공시지원금을 받은 후에는 선택약정으로 변경 불가
- 위약금 발생 가능성 주의
- 위약금 발생 조건 확인
- 선택약정 중 해지 시, 할인받은 금액 일부를 반환해야 할 수 있음
- 단말기 자급제는 선택약정만 가능
-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단말기만 구매한 경우,
통신사는 선택약정만 적용 가능
-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단말기만 구매한 경우,
- 요금제 변경 시 할인 금액 조정 가능
- 고가 요금제 → 저가 요금제로 바꾸면 할인 금액 줄어듬
- 최초 약정 요금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유리
✅ 요약 정리
구분공시지원금선택약정
할인 방식 | 단말기 가격 할인 | 월 요금 25% 할인 |
할인 시점 | 개통 시 즉시 | 매월 |
장점 | 단말기 구매 부담 ↓ | 통신요금 부담 ↓ |
권장 대상 | 단말기 부담 큰 유저 | 자급제·알뜰폰 사용자 |
✨ 마무리 한 줄
📱 단말기 할인 vs 요금 할인, 무엇이 나에게 유리할까?
2025년 통신 시장, 선택은 신중하게!
꼼꼼히 비교하고 최대 50만 원 절약하세요.
반응형